전체 글839 생각신문 22.11.15 빈 살만, 3년 5개월 만에 한국 방문 드디어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온다. 왜 올까? 사우디아라비아는 5000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스마트 도시 '네옴 시티' 프로젝트를 세우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 우리나라 기업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럼 어떤 기업이 참여할까? 간담회에는 네옴시티와 관련이 적은 LG·롯데그룹 총수를 제외하고 이재용 회장을 비롯해 최태원 회장, 정희선 회장, 김동관 한화 부회장이 함께할 것으로 알려졌다. 8조짜리 ‘매’날리는 에쓰오일 역발상 투자 에쓰오일의 사업 구조는 정유·윤활유 사업은 전체 매출의 83%를 차지했다. 나머지 17%만 화학 사업에서 발생했다. 83%를 차지하는 정유·윤활유 사업은 국제 유가 흐름에 따라 좌우된다. 국제 유가가 치솟으면 정유 제품 가격과 정제마진도 .. 2022. 11. 15. 생각신문 22.11.14 나는 신문을 읽으며 현재의 사실을 알아차리고 미래를 읽는 인사이트를 기른다. 이것을 기르기 위해서는 읽기만해서는 소용없다. 그럼 무엇을 해야하는가? 생각을 해야한다. 노인대국 치닫는 한국 고령화라는 단어들으면 떠오르는 나라가 일본이다. 일본 여행을 갔을 때 지하철에서 고운 할머니들을 본 기억이 난다. 노인분이 참 많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하지만 2044년이 되면 고령화율이 우리나라가 일본을 추월하게 된다.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고령화사회(7%이상), 고령사회(14%이상), 초고령사회(20%이상)으로 나뉜다. 일본은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바뀌는 데 25년이 걸렸다. 한국은 18년 걸렸다. 이렇게 속도가 빠른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문제'라는 단어가 나왔다. 그럼.. 2022. 11. 14. 생각신문 22.11.12 이창용 베이비스텝 밟나? 나는 이 기사를 읽으면서 '사람'이 궁금해졌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이다. 이 분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제27대 한국은행 총재이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9월부터 미국 로체스터 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되기도 했다. 이창용 총재는 2022년 4월 21일부터 한국은행 총재로 임명되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최근 인플레이션과 환율이 비교적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긴축적 통화 기조를 유지함으로써 물가 안정 기조를 공고히 하고 인플레이션 수준을 낮추는 것은 여전히 한국은행의 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오는 24일 예정되어있는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서 베이비스텝을 밟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이 총재는 최종 금리는 연 3... 2022. 11. 12. 이전 1 ··· 271 272 273 274 275 276 277 ··· 2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