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언어2

경기동향지수 경기동향지수 ‘경기동향지수’ 에서 느껴지는 것은 경기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라는 느낌이 든다. 경기가 좋은지 나쁜지를 수치화한 것인가? 라는 생각이 든다. 그럼 경기는 무엇인가? 경기(景氣 : 볕 경, 기운 기)는 기업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경제 상황의 상태이다. 동향은 움직이는 방향이다. 나는 '볕이 드는 방향을 알려주는 지표' 라고 짓고 싶다. 경기변동의 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의 방향만 파악하는 것으로서 경기의 전환점을 식별하기 위한 지표이다. 경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는 없지만 방향은 확실하게 알려주나 보다. 다른 표현으로 경기확산지수라고 한다.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에 대한 선·후행 관계에 따라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로 작성된다. 아~~~이런말을 들으니 .. 2022. 11. 8.
가산금리 동기 나는 김승호씨의 책 을 정말 좋아한다. 지금은 그 책을 한 번 읽었지만 앞으로 두번 세번 더 읽을 예정이다. 에서 ‘자신이 금융 문맹인지 알아보는 법’을 알려준다. 90여 개의 경제용어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가하는 것이다. 정말 제대로 설명할 수 있는 용어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다. 그리고 나도 동의한다. 경제를 알고 싶다면 경제용어는 기본인 것이다. ‘나는 오늘부터 경제용어를 한 개씩 이해하고 설명한다’라고 정했다. 이런 의욕이 생긴 것은 고명환TV에서 고명환씨가 경제용어 한 개씩 올린 영상을 보면서이다. 내가 참 좋아하는 분이다. 질문 가산금리를 그냥 들었을 때 느낌은 금리에 뭔가를 더한다는 느낌이다. 뭘 더하지? 왜 더하지? 어떤 기준으로 더하지? 이런 질문이 생겼다. 그럼 기준이 되는.. 2022.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