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76

생각신문 23.01.27 챗 GPT(Conversational Generative Pre-training Transformer)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은 2016년 3월이었다. 이때 사람들은 인공지능이라는 단어를 각인시키기 시작했다. 우리가 공상과학소설 또는 영화에서 본 장면을 현실에서도 볼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한 것이다. 7년 후 게임 체인저가 될 '챗 GPT'가 나왔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가 세운 오픈 AI는 작년 11월에 챗 GPT의 연구용 프리뷰 버전을 공개했다. 사이트에 접속하여 질문을 텍스트로 입력하면 바로 답을 한다. 챗봇과 같은 느낌이다. 하지만 다른 점은 챗 GPT의 답변이 전문가의 보고서 수준이다. 그리고 시를 짓기도 한다. 챗 GPT의 하루 사용자는 출시 1주일 만에 100만 명을 넘어섰다. 20년.. 2023. 1. 27.
생각신문 23.01.26 직구 늘 때 해외직접판매는 줄어 국경이 낮아지는 분야 중 하나는 전자상거래(e커머스)이다. 국내 소비자들은 해외 직구를 하고 있다. 하지만 해외 소비자들은 전자상거래를 통해 한국 제품을 구입하는 추세는 감소하고 있다. 왜냐하면 해외로 상품을 보내는 통관 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롭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국내 기업의 해외 직접판매를 활성화하기 위해 통관 절차를 대폭 간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국에서 중국으로 해상 운송에서는 목록통관이 적용되지만 일본 등 한국 상품에 관심이 많은 주요 아시아 국가들은 아직 해상 운송에 목록통관 적용이 불가능하다. 목록통관은 소액 물품인 경우 송·수하인 이름, 전화번호, 주소, 물품명, 가격 등이 적힌 송장만으로 통관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롯데의 야심 롯데는 변.. 2023. 1. 26.
생각신문 23.01.25 T맵에 남긴 주행정보 사람들은 운전을 하면서 내비게이션을 본다. 그것은 이제 당연한 것이 되었다. 나는 카카오내비를 사용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T맵을 사용한다. 우리의 데이터가 많이 쌓이고 있다. 앞으로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 넷플릭스의 시청기록을 토종 OTT서비스 왓챠에 전송해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통신 정보 마이데이터의 콘텐츠 시청 정보(선호 콘텐츠, 검색어, 시청시간 등)가 국가 표준안으로 통합되는 덕분이다. 사용자의 '디지털 발자국'은 OTT뿐만 아니라 통신사·포털 등을 넘나들며 맞춤형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데이터 규격이 표준화되면 어떻게 될까? 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T맵의 'T지금'서비스는 사용자의 전국 실시간 주행 데이터를 5분 단위로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인기 관광지, 음식점,.. 2023.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