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행무상(諸行無常)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하고 있으며 영원히 지속되는 것이 없다.
인텔, TSMC와 손잡았다…"파운드리 합작 회사 설립"___기업(인텔)
HD현대, 美방산기업과 AI 무인함정 만든다___기업(HD현대)
중국행 물량 선회…HD현대, 2.3조 수주 눈앞___기업(HD현대)
한국타이어, 獨 성능 테스트 2개 부문 최우수 등급___기업(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인텔, TSMC와 손잡았다…"파운드리 합작 회사 설립"
경영난을 겪고 있는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이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와 손잡고 합작 회사를 세우기로 잠정 합의했다. 미국 정부가 인텔의 제조 경쟁력 약화를 타개하기 위해 이번 협력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메이션은 3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텔과 TSMC가 인텔 파운드리 부문을 공동 운영할 합작법인 설립에 의견을 모았다”고 보도했다. 해당 합작법인은 인텔의 기존 제조 공장을 중심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TSMC가 약 20% 지분을 갖고, 나머지는 인텔 및 다른 미국 반도체 기업이 분산 보유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구체적인 참여 기업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미국 백악관과 상무부가 이번 합의 과정에서 인텔의 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해 사실상 중재자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미국 정부는 인텔의 위기 장기화를 우려하며 세계 최강 파운드리 기업인 TSMC와의 협력을 강하게 촉구해왔다”고 전했다. TSMC는 지분 20% 확보를 대가로 일부 핵심 제조 기술을 인텔과 공유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TSMC가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 등 미국 반도체 기업에 인텔 공장을 운영하는 합작사 투자를 제안했다고 보도했지만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초청받은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이번 합의는 지난달 립부 탄 신임 인텔 CEO 체제 출범 이후 내놓은 첫 성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탄 CEO는 지난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인텔 비전’ 콘퍼런스에서 “핵심 사업이 아닌 자산을 정리하겠다”며 조직 재편 의지를 밝혔다.
다만 인텔 내부에서는 합작법인 설립이 구조조정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디인포메이션은 “일부 임직원은 기술 경쟁력이 약화하고, 독자적 제조 역량이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미국 뉴욕 증시에서 인텔 주가는 전일 대비 2.05% 오른 22.43달러로 마감했다.
HD현대, 美방산기업과 AI 무인함정 만든다
HD현대가 미국 인공지능(AI) 방산기업 안두릴인더스트리와 함께 100t급 무인수상정(USV) 개발에 나선다. 팰런티어테크놀로지스에 이어 협력 업체를 확대하며 USV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존 유인 함정을 대체하는 USV는 기뢰 탐색 및 제거, 전투 등 임무를 수행한다.
HD현대는 최근 서울 계동 현대빌딩에서 안두릴과 ‘USV 개발 및 시장 진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고 4일 발표했다. 방산 전문 AI 기업인 안두릴은 임무 통제 체계, 감시 정찰 체계, 무인잠수정, 드론 등을 미 해군과 국방부, 호주 국방부 등에 납품하고 있다.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HD현대의 자율운항 기술, 안두릴의 자율 임무 수행 솔루션을 활용해 USV를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에 함께 진출한다. HD현대는 그동안 항해 자동화, 기관 자동화, 통합 안전 관제 등 운항 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여기에 함정 특화 기능을 결합해 ‘AI 함정 자율화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안두릴은 USV의 군집 제어, 임무 수행 자동화 등 기능이 들어간 ‘자율 임무 수행 체계’ 개발을 맡는다.
중국행 물량 선회…HD현대, 2.3조 수주 눈앞
HD현대가 미국의 ‘중국 봉쇄’ 정책 덕분에 대규모 계약 수주를 눈앞에 뒀다. 미국 정부가 중국에서 만든 선박에 거액의 입항 수수료를 물리기로 하자, 해외 선주가 중국 업체에 맡기려던 선박 건조 물량을 한국으로 돌렸기 때문이다. 그리스 해운사가 중국에 주려던 컨테이너선 물량은 모두 20척으로, 금액으로는 2조2500억원에 달한다.

4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그리스 해운사 캐피털마리타임은 HD현대삼호에 88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6척을 발주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척당 가격은 1억4000만달러(약 2033억원)로, 전체 계약 금액은 8억4000만달러(약 1조2198억원)에 이른다.
캐피털마리타임은 HD현대미포에도 2800TEU급 컨테이너선 8척(척당 5500만달러)과 1800TEU급 컨테이너선 6척(척당 4500만달러)을 총 7억1000만달러(약 1조310억원)에 주문할 것으로도 전해졌다. HD현대는 2027년부터 2년간 순차적으로 선박을 인도할 계획이다.
캐피털마리타임은 중국 조선사의 ‘단골손님’이었다. 작년에도 중국 뉴타임스조선에 88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을 발주했다. 얼마 전에도 4300TEU, 7000TEU급 선박을 추가로 건조하기 위해 중국 내 컨테이너선 건조 슬롯을 알아본 것으로 전해졌다.
캐피털마리타임의 선박 건조 계획을 돌려세운 건 미국이었다. 미국에 입항한 중국산 선박에 대해 미국무역대표부가 거액의 수수료를 물리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사실이 알려져서다. 무역대표부는 미국 항만에 들어온 중국 선사에 한 척당 100만달러(약 14억원), 중국산 선박을 이용하는 선사에는 150만달러(약 21억원)를 수수료로 부과할 계획이다. 미 국방부는 중국 최대 조선사인 중국선박공업집단(CSSC)을 블랙리스트에 올리기도 했다.
중국은 한국보다 20%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글로벌 컨테이너선 시장을 휩쓸었다. 2022년 52%였던 중국 조선소들의 수주 점유율이 지난해 70%까지 올라선 배경이다. 가격으로 경쟁할 수 없게 된 국내 조선사들은 중국과 기술 격차가 있는 LNG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주에 집중했다. 하지만 점유율 하락은 피할 수 없었다.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같은 기간 반토막(2022년 32%→지난해 16%)이 됐다.
하지만 미국의 중국 봉쇄가 대폭 강화되면서 올 1분기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27%로 뛴 반면 중국은 49%로 떨어졌다. 국내 조선사들은 수주 호황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최근 브라질 해운사 트랜스페트로에서 1조9000억원짜리 셔틀탱크 9척 수주 계약을 따냈다. 당초 중국 조선사와 나눠 수주할 것으로 예상됐던 물량이다. 한화오션은 독일 해운사 하파그로이드로부터 1만6800TUE급 컨테이너선 6척을 수주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계약 규모는 1조8000억원에 달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의 제재 여파로 화주들이 미국으로 화물을 보낼 때 중국산 선박을 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한국 조선사에 ‘러브콜’을 보내는 글로벌 선주는 갈수록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타이어, 獨 성능 테스트 2개 부문 최우수 등급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는 4일 독일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빌트’가 진행한 타이어 성능 테스트에서 전기차와 초고성능 등 두 개 부문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한국타이어의 전기차 타이어 ‘아이온 에보’는 미쉐린과 굿이어, 콘티넨탈 등 글로벌 8개 브랜드 타이어를 현대차 코나 EV 모델에 장착해 제동력과 핸들링, 정숙성 등 13개 항목을 테스트한 결과 1위에 올랐다. ‘벤투스 에보’도 글로벌 52개 브랜드를 BMW 1시리즈에 장착해 진행한 초고성능 타이어 테스트에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벤투스 에보는 젖은 노면에서 가장 짧은 제동 거리를 기록했다.
'생각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신문 25.04.08. (0) | 2025.04.08 |
---|---|
생각신문 25.04.07. (0) | 2025.04.07 |
생각신문 25.04.04. (2) | 2025.04.04 |
생각신문 25.04.03. (0) | 2025.04.03 |
생각신문 25.04.02. (1) | 202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