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행무상(諸行無常)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하고 있으며 영원히 지속되는 것이 없다.
제법무아(諸法無我) 모든 것에는 영원히 지속되는 자아가 없다.
"빅테크도 줄섰다"…eSSD 붐 타고 낸드시장 1000억弗 돌파
포스코 '흑연 독립'…"배터리 원료 脫중국"
"빅테크도 줄섰다"…eSSD 붐 타고 낸드시장 1000억弗 돌파
마이크로소프트(MS)가 운영하는 전 세계 데이터센터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수천만 대가 들어간다. HDD는 1956년 개발된 보조기억장치로 사진, 문서, 동영상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구글 메타 아마존 등 다른 빅테크까지 합하면 최소 수억 대의 HDD가 데이터센터에 들어가 있다.
인공지능(AI) 시대에 데이터 처리량이 폭증하면서 HDD 최대 수요처인 데이터센터에서 격변이 일고 있다. 기업들이 HDD보다 정보 처리 속도가 빠르고 전력을 덜 소모하며 발열도 적은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로 대체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힘입어 SSD 기반이 되는 낸드플래시 메모리 시장도 호황 국면에 들어섰다.
3일 시장조사 업체 테크인사이츠에 따르면 글로벌 낸드플래시 시장(매출 기준)은 내년에 처음 1000억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관측됐다. 지난해 390억달러이던 시장 규모는 올해 770억달러로 두 배 커지고, 내년에는 사상 최대인 1030억달러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낸드플래시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를 계속 저장할 수 있는 장치다. 빠른 정보 처리에 쓰이는 D램과 함께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양대 제품으로 꼽힌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에 들어가는 필수 반도체지만 여러 업체가 뛰어든 탓에 돈을 벌기 어려운 ‘계륵’ 같은 사업으로 불렸다.
‘미운 오리 새끼’였던 낸드플래시 시장을 ‘백조’로 바꾼 건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기업용 SSD’(eSSD)다. 낸드플래시를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eSSD는 HDD 대비 부피, 속도, 용량 등 모든 면에서 낫다. 발열과 전력 소모가 적어 데이터센터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도 강점이다.
솔리다임에 따르면 eSSD를 사용하면 에너지 비용을 HDD 대비 5년간 5분의 1, 총 비용은 46% 줄일 수 있다. 크기가 작아 SSD 1개로 HDD 5개 몫을 한다.
시장조사 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eSSD 시장은 올해 116억달러에서 2027년 198억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eSSD로의 교체를 가로막은 최대 요인이 HDD보다 높은 가격이었는데, 최근 들어 운영 비용까지 고려할 때 HDD보다 오히려 비용이 적게 든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eSSD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세계 1, 2위를 차지하는 분야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세계 eSSD 점유율은 삼성전자 45%, SK하이닉스 32%, 마이크론 10%다. 2020년까지 삼성과 인텔의 양강 구도였으나 SK하이닉스가 고용량 eSSD에 특화한 인텔 낸드 사업부(현재 솔리다임)를 2020년 10월 인수하면서 2위로 뛰었다.
반도체업계는 대용량 쿼드러플레벨셀(QLC) 기반 eSSD에 주목한다. QLC는 낸드 기본 저장 단위인 셀에 4비트를 저장해 데이터 저장량을 대폭 늘린 제품이다. 기존 트리플레벨셀(TLC)에는 셀당 3비트가 저장된다. 구글 메타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가 앞다퉈 찾는 것도 QLC eSSD다.
SK하이닉스는 고용량 64테라바이트(TB) 제품을 앞세워 빅테크 고객사를 다수 확보해 나가고 있다. 이에 대응해 삼성전자는 업계 최고 용량 eSSD인 128TB 모델 ‘BM1743’을 오는 11월 선보일 계획이다. 업계에선 내년 1분기로 예정된 SK하이닉스의 128TB 출시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온디바이스AI(내장형 AI)도 낸드플래시 부활을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꼽힌다. 퀄컴, 미디어텍 등 글로벌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업체는 PC,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온디바이스AI 칩 신제품을 앞다퉈 선보이고 있다. 정보기술(IT) 기기에 AI 기능이 들어가면 256기가바이트(GB) 이상 고용량 낸드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 '흑연 독립'…"배터리 원료 脫중국"
포스코그룹이 호주 기업과 손잡고 탄자니아 흑연 광산을 개발해 연간 6만t 규모의 흑연을 공급받기로 했다.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배터리 음극재용 흑연의 공급처를 다양화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포스코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향후 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 등 아프리카 내 천연 흑연 개발에 본격 뛰어들 계획이다.
포스코그룹의 자원 개발 계열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내셔널은 3일 호주 퍼스 크라운타워스에서 열린 ‘제45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합동회의’에서 호주계 광업회사인 블랙록마이닝과 4000만달러(약 540억원) 규모의 지분 투자계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아프리카 탄자니아 마헨게 광산을 소유한 블랙록마이닝의 지분 19.9%를 확보하게 됐다.
마헨게 광산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천연흑연 매장지다. 매장량이 약 600만t에 달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5월 이 광산의 1단계 개발에 참여해 연간 3만t씩 25년간 총 75만t의 흑연을 공급받는 계약을 맺었다. 당시 계약이 일회성이었다면, 이번 계약은 블랙록마이닝에 지분을 투자함으로써 ‘투자 동맹’을 맺은 것으로 평가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마헨게 광산의 2단계 개발에도 참여해 2026년부터 연간 3만t, 2028년부터는 연간 6만t의 흑연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마헨게 광산은 앞으로 4단계까지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총 목표 생산량은 연간 34만7000t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역시 추가 개발에 참여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포스코그룹의 아프리카 광산 진출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의 지원 아래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산업부는 ‘공급망 안정화 추진 전략’ 등을 위해 5조원 규모의 공급망 안정화 기금을 마련했다. 포스코그룹 등에 우대금리 대출 등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2027년부터 중국산 흑연이 들어간 배터리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
포스코그룹은 장기적으로 흑연의 중국 의존도를 ‘제로’에 가깝게 낮출 계획이다. 포스코퓨처엠은 배터리 음극재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흑연 수요량이 2027년께 약 15만t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흑연 이외에 리튬, 코발트, 니켈 등 주요 광물에 대해서도 탈중국 공급망을 확보할 계획이다. 장인화 포스코 회장은 취임 후 ‘흑연 탈중국’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이와 관련, 장 회장은 “2차전지소재산업 등 국가 기간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사업을 지속 발굴하겠다”며 “국가안보에도 기여할 수 있는 공급망 구축을 위해 그룹의 다양한 산업 포트폴리오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계에선 자원의 보고로 알려진 아프리카 대륙에 우리 기업이 첫발을 디뎠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생각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신문 24.09.06 (1) | 2024.09.06 |
---|---|
생각신문 24.09.05. (3) | 2024.09.05 |
생각신문 24.09.03. (2) | 2024.09.03 |
생각신문 24.09.02. (24) | 2024.09.02 |
생각신문 24.08.31. (2) | 2024.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