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신문

생각신문 24.06.28.

by FROMA_W 2024. 6. 28.

 

진격의 K웨이브

소비재 앞세운 인도 증시, 다시 달린다

 
 


진격의 K웨이브

지난 20일 베트남 하노이 중심부에 있는 대형마트 ‘후지마트’. 스낵 코너의 길이 5m 진열대가 김 관련 제품으로 채워져 있었다. 일반적인 조미김과 김 스낵 등 김을 활용한 가공식품 대부분은 대상오뚜기, 광천김 등 한국 기업 브랜드를 달고 있었다. 쇼핑을 나온 응우옌린 씨는 “한국산(産) 김 제품은 맛도 좋고 품질에 믿음이 가 즐겨 먹는다”고 했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는 요즘 한국산 김이 날개 돋친 듯 팔리고 있다. 특히 대상이 2017년부터 인도네시아에서 생산 중인 김 브랜드 ‘마마수카’는 현지 시장점유율의 과반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김 한 장 나지 않는 이들 나라에 부는 한국 김의 돌풍은 최근 몇 년 새 급격히 높아진 K푸드의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동남아 수출 4년 새 60% 증가

동남아 시장에서 K푸드의 급성장은 각종 통계로 확인할 수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동남아 주요 5개국(베트남,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에 대한 5개 가공식품(소스류, 음료, 과자류, 라면, 김) 수출액은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 3억1620만달러(약 4398억원)에서 지난해 5억1170만달러(약 7100억원)로 4년 새 61.8% 급증했다. 이 기간 대(對)말레이시아 수출액은 2.3배, 필리핀 수출액은 2배로 늘었다.

한식진흥원이 세계 주요 18개 도시, 9000명의 현지인을 대상으로 지난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한국 간편식을 아는 비율은 동남아가 60.6%로 전체 평균(39.2%)을 크게 웃돌았다. 국내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코로나가 터진 뒤 날씨가 더운 동남아에서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고 조리하기도 편한 가공식품과 간편식 수요가 늘었다”며 “수년 전부터 현지화와 고품질 마케팅을 통해 기반을 다지던 K푸드가 코로나 기간 본격적인 상승세에 올라탄 것”이라고 말했다.

K푸드 열풍의 일등 공신은 라면과 김이다. 1인당 라면 소비량 세계 1위인 베트남의 수입 라면 시장에서 한국산 라면이 차지하는 비중은 52.3%에 달한다. ‘불닭볶음면’으로 고속 성장 가도를 달리는 삼양식품은 매년 해외 매출 중 30%가량(지난해 1790억원)을 동남아에서 벌어들이고 있다. 동남아 국가에 대한 농심의 라면 수출액은 최근 6년 새 114.3% 증가했다.

김 제품의 인기도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2017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첫 해외 김 생산 공장을 세운 대상은 10년 이상 동남아 김 스낵 시장을 장악하다시피 한 태국 유명 브랜드 ‘타오케노이’를 누르고 현지 점유율 1위에 올랐다. 대상은 동남아에서 올해 처음 김 매출(수출 포함) 1000억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대상 관계자는 “품질 좋은 한국산 원초(물김)를 사용해 신뢰도를 높였고, 인도네시아인들이 선호하는 베이컨, 스파이시 시즈닝 등을 넣어 현지화에도 성공했다”고 말했다.

Z세대 홀린 K소주

그동안 K푸드에 끼지 못한 소주도 동남아에서 급부상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동남아에 수출한 소주는 1만3224t으로 전년 대비 25.8% 늘었다. 베트남이 5100t(전체의 38.6%)으로 가장 많았고 필리핀(3091t), 말레이시아(1255t), 태국(1170t) 순이었다.

하노이 시내 유명 맥주 거리인 ‘따이헨 거리’에서는 한국 소주가 매우 비싼 가격에 팔린다. 대다수 주점이 병당 15만동(약 8200원)씩 받는데, 현지 과실주나 보드카보다 3~4배 높은 가격이다. 그럼에도 하이트진로의 ‘자몽에이슬’ 같은 과일소주를 병째 들고 마시는 게 문화처럼 자리 잡았다. 소맥(소주+맥주)을 나눠 마시는 이들도 적지 않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한국 드라마가 인기를 끄는 동남아 국가에서는 소주를 ‘맛’이 아니라 ‘멋’으로 마시기도 한다”고 말했다.
 
 

소비재 앞세운 인도 증시, 다시 달린다

주춤하던 인도 증시가 다시 반등하고 있다. 최근 증시를 짓눌렀던 ‘정치 리스크’가 해소되며 인도 증시에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시장 주도주도 기존 정보기술(IT), 은행을 넘어 소비재 분야로 확장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국민소득 수준 개선으로 내수 소비 여력이 눈에 띄게 좋아지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런 추세가 최소 내년까지는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시 반등하는 인도 증시

인도 센섹스지수가 26일(현지시간) 0.80% 오른 78,674.25에 장을 마쳤다. 이 지수는 지난해 18.74% 뛰었다가 올해 들어선 지난달까지 2.38%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S&P500(10.64%), 유로스톡스50(10.22%) 등 주요국 지수보다 성과가 저조했다. 심지어 중국 상하이지수(3.76%)보다 덜 올라 “인도 증시의 상승 흐름이 꺾인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왔다. 지난 4일 의원 총선거 때는 하루 만에 5.74% 급락하기도 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인도국민당(BJP)이 과반수 의석을 차지하는 데 실패했고, 이 때문에 정부의 경제 정책 추진이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증시가 다시 반등하며 이런 우려를 씻어내고 있다. 센섹스지수는 이달 들어 6.37% 올랐다. 올해 지수 상승률도 8.91%로 반등했다. 전문가들은 “모디 총리가 정부 주요 직책에 BJP 인사를 앉히는 데 성공해 고도 경제성장을 이끈 리더십에 문제가 없다는 점을 시장이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근아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지율이 기대에 못 미쳤던 점 때문에 정부 정책이 포퓰리즘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는데, 이런 문제가 없다는 게 시장의 대체적 평가”라며 “다음달 셋째주에 내년도 확정 예산안이 나오면 증시가 다시 한번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런 흐름 덕에 인도 상장지수펀드(ETF) 성과도 개선되고 있다. 금융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1개월 동안 미래에셋TIGER인도레버리지 펀드(7.74%), 삼성KODEX인도Nifty50레버리지 펀드(7.18%), 피델리티인디아 펀드(6.53%) 등이 낮지 않은 상승률을 보였다.

○금융·IT에서 소비재로 온기 확산

기존 주도주인 IT, 금융에서 소비재 분야 등으로 온기가 확산하는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미국에 상장된 인도 소비재 ETF ‘컬럼비아 인디아 컨슈머’(INCO)는 올 들어 18.29% 뛰었다. 같은 기간 센섹스지수 상승률을 두 배 넘게 앞질렀다. 국내에도 인도 소비재 ETF인 ‘TIGER 인도빌리언컨슈머’가 상장돼 있다. 다만 이 종목은 상장한 지 얼마 안 돼 센섹스지수보다 많이 오르지는 못했다. 지난달 13일 상장한 후 7.25% 올라 같은 기간 센섹스지수 상승률(+8.10%)에 다소 못 미쳤다.

국내에서는 아직 인도 상장 종목에 직접 투자할 수 없다.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등이 관련 서비스를 출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현지 사정 때문에 언제부터 투자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답할 수 없는 상태다. 다만 인도 종목 다수가 미국에 주식예탁증서(ADR)로 상장돼 있어 이들 종목은 매매가 가능하다.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인도 은행주 ICICI은행 ADR(IBN)은 연초 이후 21.22% 올랐다. 호텔 숙박권과 항공권 등을 모은 인도 여행 플랫폼 메이크마이트립은 나스닥시장에 상장돼 있다. 이 회사 주가는 올 들어 75.67% 상승했다.

백찬규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인도를 방문하면 현지인의 소득 수준이 올라가면서 소비력이 높아지는 게 매년 눈으로 보일 정도”라며 “과거 중국과 같은 고도 성장기 초입에 있어 당분간 내수 경제의 개선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생각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신문 24.07.01.  (0) 2024.07.02
생각신문 24.06.29.  (0) 2024.06.29
생각신문 24.06.27.  (0) 2024.06.27
생각신문 25.06.26.  (0) 2024.06.26
생각신문 24.06.25.  (0) 2024.06.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