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신문

생각신문 23.08.05.

by FROMA_W 2023. 8. 5.

K뷰티

목적 알게된 점
일본에서 인기있는 이유와 상품이 궁금해서 한국 화장품이 일본에서 인기있는 이유는 합리적인 가격과 아이돌의 영향이라는 생각이 든다. 

“한국 화장품 업체들은 CICA(피부진정성분) 시리즈같이 여성들이 원하는 제품을 제때 내놓습니다. 포장도 예뻐서 몇 년 전부터 한국 화장품을 사용합니다.” 4일 기자가 찾은 일본 도쿄 긴자의 화장품·액세서리 전문점 로프트는 5층 건물 가운데 2층 전체가 화장품 매장이었다. 중앙의 가장 눈에 띄는 진열대를 차지한 제품 대부분이 한국산 기능성 화장품들이었다. ‘CICA’ ‘히아테놀’ ‘어성초 77%’ 등 화장품 브랜드명인지 제품명인지조차 구별할 수 없는 상품이 가득했다. 도쿄에 거주하는 30대 여성 사가라 마이 씨는 그 가운데 ‘CICA’라고 큼직하게 적혀 있는 화장품을 망설임 없이 집어들었다. 기자가 “이게 정말 한국산 화장품인가요?”라고 묻자, 사가라 씨는 “포장에 ‘한국제’라고 적혀 있잖아요”라고 답했다. K뷰티가 일본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일본 시장에서 30년 가까이 1위를 지키던 프랑스를 처음 꺾었다. 일본 수입화장품협회에 따르면 2022년 일본이 수입한 한국 화장품은 775억엔(약 7068억원)어치로 764억엔에 그친 프랑스를 처음 앞섰다. 랑콤, 샤넬과 같은 고급 브랜드를 내세워 일본 시장에서 30년 가까이 1위를 지키던 프랑스는 2위로 밀려났다.   지난 10년 새 한국 화장품의 일본 수출 규모는 6배 증가했다. 올 3~6월 로프트의 한국 화장품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배 늘었다. 한국 화장품의 인기는 일본 3대 편의점 로손의 매장 구조도 바꿔놨다. 이날 찾은 도쿄 도심의 로손 매장은 출입문에 들어서자마자 정면의 화장품 진열대가 눈에 띄었다. 로손이 한국 화장품 브랜드 ‘롬앤’과 공동 개발한 립스틱이 판매되고 있었다. 지난 3월 말 처음 출시할 때는 2개월치 재고를 준비했는데도 사흘 만에 품절됐다. 크기를 일반 립스틱의 3분의 2로 줄이는 대신 가격을 1000엔 안팎으로 낮춘 전략이 먹혔다는 분석이다.  한국 화장품이 일본에서 인정받기 시작한 계기는 2007년 무렵부터 에센스와 파운데이션의 기능을 합한 BB크림이 유행하면서였다. 한류 아이돌의 인기와 함께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가격이 합리적이고, 좋아하는 아이돌도 쓰는 제품’이라는 인식이 퍼진 것 역시 인기 비결로 꼽힌다. 국내 화장품 브랜드들도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본 화장품 소비의 60% 이상이 오프라인에서 이뤄지는 만큼 주로 드러그스토어, 편집숍 등에 입점하거나 오프라인 이벤트를 여는 방식으로 현지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늘리고 있다. 애경의 색조 브랜드 ‘루나’는 현재 2300개가 넘는 현지 오프라인 매장에 진출했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600여 개였던 매장 수가 8개월여 만에 3배 이상 늘어날 정도로 확산 속도가 빠르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달 도쿄 하라주쿠에서 일본에서의 첫 대형 프로모션 행사 ‘아모파시페스’를 열었다. 최근 들어서는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내세운 한국 인디 브랜드들의 인기가 높아지는 게 특징이다. 이들은 중저가 화장품이 많지 않은 일본 뷰티시장의 틈바구니를 파고들고 있다. 롬앤, VT코스메틱, 달바 등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들이다. K뷰티 브랜드가 일본에서 좋은 품질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할 수 있는 건 코스맥스, 한국콜마 등 국내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업체의 역량이 뛰어나기 때문이라는 게 국내 뷰티업계의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지 ODM 기업보다 기술력·생산성이 높아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e커머스를 통한 화장품 구매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인 만큼 큐텐재팬, 아마존재팬 등 온라인 채널에 입점하는 국내 브랜드도 많다. 큐텐재팬의 K뷰티 카테고리 매출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거래액은 2019년 대비 350% 넘게 늘었다. 큐텐재팬을 운영하는 이베이재팬은 최근 일본 e커머스 시장 진출을 원하는 한국 판매자를 대상으로 교육 세미나를 열기도 했다.

K전력기기

목적 알게된 점
K전력기기에는 어떤 종목이 있는가? K전력기기라는 표현이 생겼다. 이제는 팔아야 할 때인가라는 생각이 든다. 미국 내 송배전 변압기 교제,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신재생에너지 관련 수요 등 호재가 참 많다. 

출처 한국경제

미국 시장에서 국내 전력기기 기업인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의 수주가 급증하고 있다. 미국 내 송배전 변압기 교체, 전기차 충전 인프라 설치, 신재생에너지 관련 수요가 크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고객사 주문이 빗발치며 2025년 생산분까지 입도선매되고 있다. 지난 2분기 미국에서 대규모 수주를 따낸 LS일렉트릭은 현지 공장 건설도 검토 중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일렉트릭과 효성중공업은 각각 미국 공장을 100% 이상 가동 중이다. 넘쳐나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주말 및 야간 특근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현지 고객사는 3년 뒤인 2026년 생산 물량까지 선점하기 위해 선계약을 요청하고 있다. 이 같은 수요 급증 분위기 속에 HD현대일렉트릭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효성중공업은 변압기 차단기 등 전력기기 제품 가격을 2년 만에 20%가량 올렸다. 제품 가격 인상에도 수주는 급증하고 있다. HD현대일렉트릭은 2분기 미국 시장에서 5억1300만달러(약 6600억원)어치를 수주했다. 지난해 2분기보다 44.9% 증가했다. 이로써 2분기 말 수주잔액은 18억4000만달러(약 2조4000억원)로 불어났다. 효성중공업도 지난 1분기 말 미국 수주잔액이 2억1196만달러로 1년 새 14.6% 늘었다. 이 회사는 2분기 수주액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HD현대일렉트릭과 비슷하게 늘어난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공장만으로 수요 충족이 어려워 이들 기업은 한국 공장에서 생산한 물량까지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후한 송배전 인프라 교체 시기가 도래한 점이 수주 급증의 가장 큰 요인이다. 미국 에너지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배전 변압기의 70%가 평균 수명인 25년을 넘어섰다. 최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 공사가 잇따르는 점도 전력기기 수요를 키우고 있다. 전기차가 급격히 늘며 가정마다 충전 인프라를 설치하기 위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 전력기기 제품인 변압기는 발주처의 요구에 따라 주문 제작된다. 이로 인해 고객이 원하는 제품 사양과 납기를 준수하는 기업에 주문이 몰리는 경향이 있다. 한국 기업들은 오랜 기간 제품 공급을 통해 현지 고객사들로부터 신뢰를 얻고 있다. 전력기기는 가동 때 안정성이 중요해 고객사가 납품업체를 함부로 바꾸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성중공업 관계자는 “통상 변압기 리드타임(주문부터 납품까지 걸리는 기간)이 10개월인데, 오래 거래한 고객의 경우 7~8개월로 납기를 단축해 공급한다”며 “신규 고객들도 제품을 달라고 아우성이지만, 기존 고객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각 주에서 변압기에 쓰이는 소모품인 절연물을 친환경 제품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규제가 확산하는 점도 한국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HD현대일렉트릭이 친환경 절연유를 적용해 개발한 변압기나 효성중공업의 친환경 변압기 등이 인기가 높은 이유다. LS일렉트릭은 그동안 진입이 어려웠던 미국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현대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 등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 공장을 잇따라 신설하면서 현지에서 이 회사 제품을 쓰게 된 것이다. LS일렉트릭의 2분기 수주액 4500억원 중 미국 시장이 28%를 차지했다. 미국에 공장이 없는 이 회사는 국내에서 제조해 수출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미국 현지 기업과의 거래는 없지만, 납기가 상대적으로 짧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며 “미국 공장 신설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생각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신문 23.08.08.  (0) 2023.08.08
생각신문 23.08.07.  (0) 2023.08.07
생각신문 23.08.04.  (0) 2023.08.04
생각신문 23.08.03.  (1) 2023.08.03
생각신문 23.08.02.  (0) 2023.08.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