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각신문 24.03.13.

by FROMA_W 2024. 3. 13.

 

로봇 전용 소프트웨어 시장

발효유시장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로봇, 먹거리, 네덜란드에 관한 이야기이다. 신문은 세상의 변화를 알려준다. 인간, 기업은 모두 생존을 위해 변하고 있다. 변화는 계속된다. 


로봇 전용 소프트웨어 시장

목적 한 줄 요약 용어
로봇에 대한 기사라 관심이 생겼다.
MS의 ‘MSRDS’와 ‘인텔리전트 로보틱스’, 구글의 ‘구글 클라우드 로보틱스’, 아마존의 ‘로보메이커’, 메타의 ‘드로이드렛’ 등이 대표적인 로봇 SW 개발 도구다. *MSRDS, 인텔리전트 로보틱스
*구글 클라우드 로보틱스

*로보메이커
*드로이드렛

 

테슬라가 도요타와 폭스바겐을 제치고 시가총액 세계 1위(5661억달러) 자동차기업이 된 것은 멋진 외관의 차를 생산해서가 아니다. 일등공신은 풀셀프드라이빙(FSD)이란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다. 운전석 중앙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터치만으로 차의 모든 기능을 컨트롤할 수 있게 하는 운영체제(OS)도 ‘테슬라 천하’에 힘을 보탰다.

최근 글로벌 로봇산업에서 벌어지는 경쟁 양상도 자동차와 비슷하다. 로봇 제조 시장을 장악한 건 중국이지만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아마존 등 로봇 시장에 뛰어든 글로벌 테크기업의 눈은 다른 데 가 있다. 로봇용 OS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시장이다. 로봇이 손가락을 좀 더 정교하게 구부릴 수 있게 하고, 가야 할 곳에 빠른 속도로 도달하도록 돕는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게 글로벌 로봇 시장의 패권을 결정할 열쇠가 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SW 중심 로봇 시대 온다”

LG전자가 “베어로보틱스에 6000만달러(약 785억원)를 투자해 최대주주에 올라서겠다”고 12일 발표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LG전자는 경북 구미 생산라인에서 ‘LG 클로이’ 로봇을 제조해 국내 공항 호텔 레스토랑 병원 등에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로봇 시장의 궁극적인 승부처는 소프트웨어 역량이라고 판단했다.

때마침 LG전자 눈에 들어온 게 베어로보틱스다. 이 회사는 2017년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된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로봇 관련 스타트업이다. 서빙 기능에 특화된 배송 로봇을 앞세워 한국 미국 일본 등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 역량, 다수의 로봇을 제어하는 군집 제어 기술 등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와 협업해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예컨대 화물 배송 로봇을 제조하는 A사, 서빙 로봇에 특화된 B사 등에 LG전자가 로봇용 소프트웨어를 구독형으로 제공해 매달 ‘구독료’를 받겠다는 것이다. LG전자는 중장기적으론 AI 기반 자율주행 로봇용 소프트웨어의 표준을 제시해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구글 안드로이드 OS 같은 영향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갖고 있다.

빅테크도 뛰어든 SW 개발 경쟁

로봇 전용 소프트웨어 시장은 계속 커지고 있다. 세계에 AI 기반 서비스 로봇이 공급되면서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시장조사업체 글로벌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2023년 135억달러(약 17조6800억원) 수준이던 로봇용 소프트웨어 시장은 2032년 800억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MS, 구글, 아마존 같은 빅테크들이 이 시장에 뛰어든 이유다. 이들은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를 제공해 영향력을 강화하려고 한다. MS의 ‘MSRDS’와 ‘인텔리전트 로보틱스’, 구글의 ‘구글 클라우드 로보틱스’, 아마존의 ‘로보메이커’, 메타의 ‘드로이드렛’ 등이 대표적인 로봇 SW 개발 도구다.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 역할을 하는 OS 개발 경쟁도 치열하다. 소프트뱅크는 자체 OS ‘NAoQI’를 개발해 공개했다. 아마존, MS 등도 OS 고도화를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고 있다. 로봇업계 관계자는 “로봇의 핵심은 사람처럼 움직이게 하는 것”이라며 “소프트웨어를 통해 기술을 고도화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백조원대 로봇 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로봇기업 간 합종연횡이 속도를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발효유 시장

목적 한 줄 요약 용어
인간들이 건강을 생각하고 있다. 흰 우유 지고, 발효유 뜬다. 우리도 트레이더스에서 덴마크 드링킹 요구르트를 사기 시작했다. 
남양유업과 빙그레의 뒤를 이어 풀무원다논, 동원F&B가 뜬다.  *빙그레, 남양유업, 풀무원다논, 동원F&B

 

즐겁게 건강을 관리하는 ‘헬시 플레저’ 트렌드 확산으로 발효유시장 성장세가 이어지면서 유·식품업계가 주도권을 잡기 위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전통 강자’인 남양유업빙그레가 치열한 선두 다툼을 이어가는 가운데 풀무원다논, 동원F&B 등이 기능성을 강화하고 색다른 맛으로 마시기 좋은 신제품을 내놓으며 추격에 나섰다.

흰 우유 지고, 발효유 뜨고

동원F&B는 지난달 선보인 프리미엄 액상 발효유 ‘덴마크 하이 요구르트’가 출시 한 달 만에 누적 판매량 300만 병을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제품은 GC녹십자웰빙이 4년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선보인 호흡기 특허 유산균을 함유했다. 아연, 칼슘, 비타민D가 들어 있고 당 함량은 액상 발효유 판매 상위 3개 제품 평균 대비 35% 이상 적어 당 섭취를 꺼리는 소비자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고 동원F&B 측은 설명했다.

발효유는 드링킹, 액상, 호상 등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된다. 동원F&B는 ‘덴마크 드링킹 요구르트’ 등을 앞세워 지난해 국내 드링킹 발효유 시장 1위를 차지했다. 덴마크 하이를 통해 액상 발효유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국내 발효유시장 규모는 2조625억원(유로모니터 집계)으로 전년 대비 2.7%가량 커졌다. 출산율 저하 등의 여파로 같은 기간 흰 우유 시장 규모가 1조6678억원에서 1조6591억원으로 0.5% 작아진 것과 대조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발효유시장 점유율(소매점 매출 기준)은 1위인 남양유업이 18.3%, 2위 빙그레가 17.5%였다. 남양유업과 빙그레 간 점유율 격차는 2020년까지만 해도 6% 이상 벌어져 있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좁혀지더니 지난해 거의 맞붙는 모양새가 됐다. 남양유업, 빙그레에 이어 서울우유협동조합과 매일유업, 풀무원다논이 3~5위 자리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수익성 높아”…제품군 확대 주력

흰 우유 수요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유·식품업계는 성장성과 수익성이 높은 발효유 제품군을 확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유업계 관계자는 “발효유는 위, 장뿐 아니라 호흡기, 눈, 다이어트, 피부 미용 등에 도움을 주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어 흰 우유와 가공유보다 브랜드 확장성이 높다”고 했다.

연세우유는 호상 발효유 제품군 확대를 위해 작년 말 전북 전주 푸르밀 공장 내 생산 설비를 인수했다. 충남 아산 공장에 인수한 설비를 들여 올 2분기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풀무원다논은 작년 12월 ‘풀무원요거트’ 브랜드를 새로 선보였다. ‘액티비아’ 외에 기존 네 개 발효유 브랜드를 풀무원요거트 하위 브랜드로 재편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려는 전략이다.

유산균뿐 아니라 색다른 맛과 효능을 더한 제품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을 시작으로 ‘쿠퍼스’(간) ‘엠프로’(장) 등으로 발효유 라인업을 확장해 온 hy는 지난해 신제품 ‘스트레스케어 쉼’과 ‘수면케어 쉼’을 차례로 출시했다. 장 건강은 물론 정신 건강, 수면 습관까지 관리하는 멘털 헬스케어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목적 한 줄 요약 용어
네덜란드가 다음 먹거리를 완벽하게 준비하고 있다.
남네덜란드 로테르담항은 '탈탄소 에너지 허브'를 노리고 있다.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마스블락테 APM터미널

 

지난 7일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마스블락테 APM터미널. 북해를 마주 보고 선 거대한 크레인이 항만에 정박한 대형 화물선으로 팔을 뻗었다. 한 번에 40피트 컨테이너 두 개를 들어 올린 크레인이 밑에서 기다리고 있던 무인 화물차(AGV) 위로 컨테이너를 내렸다. 어떤 차는 야적장으로, 또 다른 차는 트럭이나 더 작은 연안선을 향해 스스로 움직였다.


사람의 그림자는 없었다.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로봇 크레인·화물차와 항구 곳곳에 우뚝 선 거대한 풍력터빈만 묵묵하게 돌고 있었다. 63빌딩(248m) 높이의 초대형 풍력터빈 한 기는 1만6000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마틴 반 오스턴 로테르담항만공사 홍보담당관은 “APM터미널은 100% 풍력 발전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운영되는 탈탄소 항구”라며 “올해 말부터 로테르담항 내에서 그린수소 생산을 시작해 6년 후엔 유럽 전역에 수소를 운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항만 자동화의 첨병이던 로테르담항이 ‘탈탄소 에너지 항구’로 또 한 번 진화하고 있다. 유럽 최대 항구인 로테르담항은 반자동화 터미널(1993년)과 무인 자동화 터미널(2015년),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항만 시스템(2018년)을 세계 최초로 도입한 곳이다. 로테르담항은 향후 무인자율주행선 시대에 대비해 ‘디지털 트윈’을 구축 중이다.

로테르담항이 겨냥한 다음 목표는 ‘유럽 최대 그린수소 허브’다. 그린수소는 풍력·태양광 같은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해 생산한 수소다.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이 없는 진정한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지형상 재생에너지 발전이 쉽고, 해상을 통해 대규모로 수소를 수입할 수 있는 로테르담은 그린수소 생산에 적합한 곳이다. 실핏줄 같은 하천과 육로, 파이프라인을 통해 유럽 내륙으로 수소를 운송할 수 있는 인프라가 풍부하다는 것도 강점이다.

로테르담항은 마스블락테 부지 내에만 8곳의 수소 시설을 짓고 있다. 완공되면 연 2.5GW급 수전해 설비로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영국 셸·BP, 독일 티센크루프·RWE·유니퍼, 프랑스 에어리퀴드 등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이 앞다퉈 투자했다. 가장 먼저 뛰어든 셸은 축구장 800개와 맞먹는 부지에 10억유로를 들여 연 60만t 규모의 네덜란드 최초 그린수소 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 반 오스턴 담당관은 “2030년부터 이곳에서 독일과 벨기에의 산업단지까지 수소 파이프라인이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로테르담항은 하역·운송업 같은 전통적인 항구 사업에서 탈피한 지 오래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로테르담항이 터미널 운영을 통해 얻는 부가가치 비중은 17.3%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부가가치는 벙커링, 선박금융, 항만배후단지 건설·운영 사업 등에서 올린다. 이에 비해 부산항은 기본 터미널 운영 의존도가 60%에 달한다.

KMI 관계자는 “한국은 수출입 화물의 99.7%를 해상 운송에 의존할 만큼 해운·항만산업의 중요성이 크지만 아직 하역·운송업 외 서비스의 부가가치 창출력은 낮은 수준”이라며 “세계 주요 항구와 경쟁하려면 항만 연관 산업에 대한 투자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제목만

선박값 고공행진…조선株 '뱃고동'

삼성重·한화오션 등 주가 강세
지난달 1일부터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의 주가가 각각 10.40%, 10.02% 올랐다.

"알파벳, M7 중 가장 싸…주가 20% 넘게 오를 것"

선행 PER 유일하게 20배 못미쳐
아마존·애플보다 상승 여력 높아
 구글을 기대해본다. 뭔가 보여줘.

 

 

댓글